SONY NEX-5R은 이 글을 쓰는 지금도 현역으로 사용 중인 미러리스 카메라이다. Olympus E-1(관련 포스트 : castar.tistory.com/121)을 계속 사용하고 있던 2013년 즈음에 SONY NEX-5R + 16-50 번들 렌즈킷을 처남 회사의 복지몰에서 꽤 저렴하게 팔고 있어서 구입하게 되었다. 색상은 흰색, 은색, 검정색 이렇게 3가지 색상으로 출시되었고, 화이트를 구입해서 쓰고 있긴 하지만 카메라는 역시 은색이나 검정색이 오래보아도 질리지 않고 잘 어울리는 것 같다. Olympus E-1, Canon EOS 6D 그리고 현재 SONY A7M2가 메인 카메라인 시절까지 무려 3대에 걸쳐 서브 카메라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렌즈까지 포함한 무게가 466g으로 소형 DSLR 본체보다도 가볍고 사이즈도 작다보니 큰 부담없이 가지고 다닐 수 있다.
카메라 스펙은 대체로 무난한 편이다. 보급형 DSLR과 동급 수준인 1600만 화소의 1.5배 크롭 APS-C 센서를 사용하고 있고 일부 센서 화소에 위상차 AF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서 보급형 DSLR 수준의 쾌적한 AF 성능을 보여준다. 연사는 매 장마다 AF를 잡는 3연사 모드와 첫 장만 포커스를 유지하는 고속 10연사 모드가 지원되어서 조금 아쉽기는 하지만 상황에 따라 골라쓸 수 있다. 가장 편리한 점은 전용 앱을 통한 스마트폰과의 연동이 지원된다는 점인데, 스마트폰을 리모컨으로 사용하거나, 촬영한 사진을 스마트폰으로 바로 가져올 수 있다. 요즘은 SNS에 사진을 올리는 경우가 많아서 전용 앱을 잦은 빈도로 꽤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미러리스인 NEX-5R을 사용하면서 확실히 깨닫게 된 점인데, 내 경우는 뷰파인더를 보고 촬영한 사진보다 LCD를 보고 촬영한 사진의 결과물이 훨씬 나았다. 예전에 DSLR과 똑딱이를 같이 쓸 때도 그랬다. 화질은 당연히 DSLR이 압도적으로 좋았지만, 막상 결과물은 똑딱이의 것이 더 마음에 들었다. 결국 뷰파인더가 내 구도를 제한하고 있구나 라는 느낌...
그래서 최근에는 이런저런 이유로 무거운 DSLR은 모두 정리하고 서브인 NEX-5R과 렌즈 마운트도 통합할 겸 SONY 풀프레임 미러리스인 A7M2를 들였다.
가장 큰 단점은 아마도 미러리스 카메라의 공통적인 사항인 것 같긴 한데, DSLR 대비 배터리 소모량이 훨씬 많다. DSLR의 경우 배터리 하나로 1000장 넘게도 찍을 수 있지만, NEX-5R은 전력 소모도 많고 배터리 용량도 작아서 배터리당 최대 300장 정도라고 보면 된다. 거기다가 대기 전력 소모도 심한 편이라 배터리를 끼워놓고 전원을 끈 상태로 한참 지나서 확인해 보면 배터리가 꽤 소모되어 있다.
하지만 휴대성이 워낙 좋기 때문에 큰 부담없이 조금 맘먹고 사진을 찍고 싶을 때 손이 자주 가는 카메라이다.
서브 카메라로 요긴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NEX 시리즈에 가장 아쉬운 것은, SONY가 돈이 되는 풀프레임에만 집중하고 크롭 바디에 소흘하다보니 화각에 맞는 전용 렌즈군이 다양하지 않다는 점이다.
커피첼리, 춘천, 2014.05
castar.tistory.com
카페오라, 영종도, 2014.11
castar.tistory.com
'digit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e Mac Intel에서 ARM으로 이주 발표 (0) | 2020.06.23 |
---|---|
SONY Vaio GR PCG-GR5E/BP (0) | 2020.06.16 |
iMac G3 266 - Blueberry (Rev. C) (0) | 2020.06.03 |
Apple PowerBook 1400c (0) | 2020.05.27 |
Olympus E-1 (0) | 2020.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