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어라? 나 SM 좋아하네?, aespa - Next Level 마이너한 취향이다보니 SM, YG, JYP 같은 대형 기획사보다는 중소 규모 기획사의 음악(울림, WM 등)을 주로 찾아 듣는 편인데 SM의 차세대 팀 에스파(aespa)의 신곡 Next Level(분노의 질주: 홉스&쇼 OST 동명곡의 리메이크)이 완전 취향저격이라 살짝 혼란에 빠졌다. 원곡보다 전자음이 강화된 인트로의 베이스 리프부터 심상치 않더니 1) 베이스 포함 다른 악기들은 모두 오프되고 퍼커션과 보컬만 나오는 구간(0:44 ~ 0:51), 2) SM 메인보컬 전매특허인 청명하고 날카로운 고음(1:46 ~ 2:02), 3) SM 그루브의 전통을 그대로 계승한 보컬x랩(2:03 ~ 2:50)의 완벽한 조합까지 기존 SM 아이돌이 추구하던 음악의 완성판이자 종합선물세트 같은 짜릿한 구성이다. 현실과.. 더보기 기리보이 - 우주비행2 (Feat. 최엘비) ‘For love 우린 비행을 하고 비행의 뜻은 날아간단 뜻이 아니란 걸 느낌 있는 사람들은 알지 우린 너무나도 못된 짓을 하지 내가 하는 비행 너도 동의하지’ 힙합 뮤지션 기리보이의 ‘우주비행2’가 비범한 이유는 ‘남녀 사이의 못된 짓’으로 대표되는 저 성적인 코드 충만한 가사를 감싸주는 독창적이고 차원이 다른 섹시한 비트 때문이다. 귀르가즘(귀로 느끼는 오르가즘)이 무엇인지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곡. 더보기 라디오 천국, Franck Pourcel - Merci Cherie 학창시절에 공부한답시고 늘 책상 앞에 앉아는 있었지만 내 귀에는 항상 이어폰을 꽂혀 있었다. 육신은 비록 거기 거하였으나 영혼 만큼은 자유로운 음악 여행. 지금도 여전한 ‘배철수의 음악캠프’, 지금은 이문세가 아닌 ‘김이나의 별이 빛나는 밤에’, ‘김광한의 팝스 다이얼’, 새롭지만 다소 난해한 음악들로 내 귀를 가득 채우던 새벽 방송 ‘전영혁의 음악세계’까지. 좀처럼 끝나지 않던 야간 비행은 새벽이 깊어져 클래식 방송만 남게 되면 그제서야 끝나곤 했다. ‘배철수의 음악캠프’외에 다른 라디오 프로의 로고송들은 대부분 기억나지 않지만 매일 밤 9시마다 라디오에서 흘러 나오던 ‘이문세의 별이 빛나는 밤에’의 로고송 Franck Pourcel의 Merci Cherie 만큼은 잊혀지지 않는다. 나를 찾아 온 모든.. 더보기 퇴근길 2021.05 퇴근은 조신하고 재빠르게. 더보기 별 하나의 사랑과 별 하나의 행복과, John Williams - Cavatina (The Deer Hunter OST) 몰려오는 졸음에 하품을 크게 내쉬며 앞 부분만 유난히 까맣게 때가 탄 두꺼운 책을 덮었다. ‘저자 홍성대. 수학의 정석. 기본편’. 굳이 청록색이 아닌 귤색 표지의 이 입문자용 경전일지라도 한 명의 새로운 수학 포기자를 창조하기에는 그럭저럭 충분했다. 사실 이 경전의 저자에게는 딱히 죄가 없다. 굳이 죄의 근원을 따지자면 수학이라는 종교의 선민도 아닌 주제에 감히 구원을 바랐던 내 쪽이지... 하도 답답한 마음에 평소 습관처럼 라디오에서 주파수 95.9를 틀었다. “별 하나의 사랑과 별 하나의 행복과...”. 윤동주의 시에서 모티브를 얻은 듯한 도입 멘트와 John Williams가 연주하는 Cavatina의 나지막한 나일론 기타 선율에 기댄 채 잠시나마 현실의 고통을 잊고 사치스러운 나태함을 누려본다... 더보기 마사아키 키시베 - 花 / Hana 한중일의 음악에서 각 나라별로 지닌 고유함은 서로 이웃한 문화라는 사실에 비하면 의외로 차이가 꽤 크게 느껴지곤 한다. 특히 히사이시 조나 류이치 사카모토 같은 일본 뮤지션들에게서 종종 느껴지는 일본 음악 특유의 멜로디나 담담함은 한국이나 중국과는 확연한 다름이 있다. 개인적으로 일렉트릭 기타의 화려한 기교에는 짜릿함을 느끼지만 어쿠스틱 기타 연주에서는 기타줄 외에 바디나 지판을 두드리는 핑거 스타일을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 편인데 아무래도 어쿠스틱 연주 만큼은 차분히 듣고 싶어서인 것 같다. 분류상으로는 핑거 스타일 기타리스트에 속하는 마사아키 키시베이지만 그의 연주가 나에게 다르게 와닿았던 건 일체의 꾸밈이나 장식없이 일본 음악에서만 느낄 수 있는 순도 백프로의 담담한 멜로디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게 .. 더보기 자신을 구원하지 못한 밴드, Cinderella - Somebody Save Me 나의 메탈 키즈 초기 시절 추억의 밴드 Cinderella. 헤비메탈 장르와는 좀처럼 어울리지 않는 공주병스러운 팀명이지만 동종 업계의 Motley Crue나 Bon Jovi가 이후 엄청난 커리어를 자랑하기 전까지는 나름 촉망받던 경쟁 밴드였다. 세간에는 유명 밴드 Skid Row처럼 Bon Jovi의 리더인 존 본 조비가 발굴한 신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은 KISS의 진 시몬스가 이들을 처음 알아봐 주었다고 한다. 다만 존 본 조비가 도움을 준 것만큼은 어느정도 확실해 보이는데 그가 백킹 보컬로서 앨범에 코러스로 참여한 적도 있기 때문이다. 이들의 야심찬 데뷔 앨범 ‘Night Song’의 수록곡 ‘Somebody Save Me’는 같은 LA 메탈(또는 글램 메탈) 장르에 속하는 Motley Crue의.. 더보기 BTS - 봄날 처음 들었던 날, 단순히 너무 좋다고만 생각했지 어떤 메시지인지는 미처 알아주지 못했던 노래였다. 오늘 같던 7년 전 어느 봄날, 섬을 꼬옥 품에 안은 채 바다가 되어버린 꽃봉오리들을 향한 그리움, BTS의 ‘봄날’. 차갑던 지난 날들을 무심하게 다 잊은 것처럼, 따뜻한 계절을 마중하는 꽃을 활짝 피우기엔 여전히 바람이 시리다. 더보기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