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usic/rock

Yngwie J. Malmsteen - Rising Force (Live in Leningrad, 1989) 다시 간만에 써보는 음악 이야기. 오늘의 턴테이블 주인공은 바로 헤비메탈 기타 연주의 판도를 바꾼 혁명가, 스웨덴 출신의 기타리스트 Yngwie J. Malmsteen이다. 10대 후반의 불꽃같은 나이에 마이크 바니의 눈에 띄어 본격적으로 데뷔하게 되는데, 데뷔와 동시에 헤비메탈 음악계에 엄청난 충격파를 몰고 오면서 전세계의 기타리스트들이 속주 및 고난이도 테크닉에 몰두하도록 만든 원조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헤비메탈 음악을 속주 및 기교의 전쟁터로 만들어버린 원흉으로 많은 비판을 받기도 하나 그의 영향을 받은 추종자들이 너무나도 많았던 것일 뿐, 모든 결과를 그의 탓으로 돌리긴 어렵다. 지금은 보편화 되었지만 그 당시 상상을 초월하는 엄청난 스피드와 정교함이 겸비된 스윕 피킹 테크닉과 함께 클래식한 느.. 더보기
Ozzy Osbourne - Devil's Daughter (Holy War) 오늘 턴 테이블에 올려볼 곡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 Ozzy Osbourne의 5집 No Rest for the Wicked 앨범의 두번째 수록곡인 Devil's Daughter. 랜디 로즈의 급작스런 사망 이후 영입한 일본계 혼혈의 신인 기타리스트 제이크 E. 리는 전임자 랜디 로즈와 차별화된 줄충한 연주력과 음악성으로 오지와 함께 두장의 명반을 냈고 이 앨범들은 상업적으로도 크게 성공했으나, 일방적으로 오지에게 전보로 해고 통보를 당하게 된다. 그리고 새로 영입한 기타리스트가 바로 신인 기타리스트 Zakk Wylde이다. 오지가 외모를 보고 새 기타리스트를 뽑았다는 설이 있을 정도로 데뷔 때는 꽃미남 외모였으나, 한참 세월이 흐른 후 엄청난 벌크업으로 근육을 키워 버린 지금은 예전의 꽃미남 미모는 안드.. 더보기
Ozzy Osbourne - Over the Mountain 오늘 턴테이블에 올려볼 곡은 Ozzy Osbourne의 2집 앨범 타이틀 곡 Over the Mountain. 오지 오스본은 Prince of Darkness라는 닉네임으로 락, 특히 헤비메탈 음악계에서 진정한 어둠의 대부급으로 불리우는 인물이다. 앞서 언급했던 로니 제임스 디오가 본인이 추구하는 음악과 달리 행실은 얌전하고 깨끗했던 반면, 오지 오스본은 음악과 자신의 기행이 정확히 일치했던 문제아였다. 머틀리 크루가 사춘기 시절의 나를 헤비메탈 장르로 입문시킨 밴드였다면, 오지 오스본은 그 장르에 나를 더욱 심취하게 만든 인물이었다. 한창 전성기에는 가히 독보적이고 독한 악마주의 컨셉 때문에 기독교계의 맹공과 비난을 한몸에 받았었는데, 한참 세월이 지나고 나서야 본인이 사실은 기독교인이라고 커밍아웃(?.. 더보기
Ronnie James Dio - Rainbow In The Dark 오늘자 턴테이블 추천곡은 로니 제임스 디오의 Rainbow In The Dark. 로니 제임스 디오는 앞서 게시했던 주다스 프리스트의 롭 헬포드와 함께 감히 따라할 수조차 없는 독보적인 락 보컬리스트로 꼽히는 인물이다. 초고음역을 과시하는 보컬은 아니지만 육중한 중고음역대를 바탕으로 파워풀하면서도 드라마틱한 표현력을 자랑한다. 마치 공간을 꽉 채운 듯한 입자감 마저 느껴지는 그의 두터운 음색은 가히 압권이라 할만하다. 후에 언급할 오지 오스본과 함께 그 당시 한참 유행하던 악마주의 사조를 따르는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으며 그 쪽 분야에서는 대부급에 가까운 인물이라 할 수 있는데, 엄청난 사고뭉치였던 오지 오스본이나 일반적인 락스타들과 달리 거의 성직자 수준의 깨끗한 사생활을 유지했고, 헤비하고 어두운 음악.. 더보기
Judas Priest - Blood Red Skies 오늘의 턴테이블 주인공은 Judas Priest. 수많은 Heavy Metal 밴드들 사이에서도 Metal God이라 칭해지며 리스펙 받는 밴드다. 바로 앞에 포스팅 했던 Skid Row의 보컬 세바스찬 바흐가 가장 좋아하는 밴드이기도 하다. 보통 많은 분들이 유명한 Breaking The Law나 Before The Down, Pain Killer 같은 유명한 명곡 들을 손에 꼽을 텐데, 나의 최고 추천 곡 원픽은 명반 Pain Killer 앨범의 바로 이전 앨범인 Ram It Down에 수록된 숨겨진 비운의 명곡 Blood Red Skies이다. 특히 앨범의 동명 타이틀곡인 Ram It Down에서는 기존에 보여주던 작법과 보컬 스타일과는 달리 이후 Pain Killer를 암시하는 듯한 실험적인 시도.. 더보기
Skid Row - Youth Gone Wild 1989년에 혜성같이 나타난 신인 Skid Row. 193cm의 초장신 꽃미남 보컬 Sebastian Bach 덕분에 여성팬이 엄청나게 많았다. 개인적으로 락씬을 넘어 남자 뮤지션 중에서도 가장 멋지게 생긴 외모라고 생각한다. 그냥 가만히 서있기만 해도 멋진 외모에다 무대 퍼포먼스까지 멋짐이 대폭발하니 개간지(?) 그 자체. 대신 술과 여자를 너무 밝히다 보니 자기 관리가 부실해서 라이브 실력은 롤러코스터를 심하게 타는 편이었다. 곱상한 외모와 달리 매우 불같은 성격이었는데, 본인들을 데뷔시켜준 은인인 존 본조비와는 주먹다짐이 오갈만큼 사이가 엄청나게 안좋았다고 한다. 심지어 기타리스트인 Dave The Snake Sabo와 존 본조비는 오랜 친구사이였는데 성격 앞에서는 동료의 절친도 짤없음. 본조비의 .. 더보기
Motley Crue - Too Young To Fall In Love 암흑같던 나의 사춘기 시절, 일탈만을 꿈꾸던(비록 행실까지 이어지진 않았지만) 내 영혼의 문을 두드리던 메피스토의 손. 이 음악을 통해 나는 그의 손을 잡았다. 특유의 퇴폐적인 분위기와 어둡고 공격적인 리프가 매력적인 머틀리 크루의 초기 대표곡. 엄청난 상업적 성공을 거둔 Dr. Feelgood 앨범 덕분에 대중적인 LA 메탈 밴드로 흔히 알려져 있지만 그 이전에는 공격적이고 직선적인 정통 헤비메탈 사운드를 들려 주던 밴드 중 하나였다. 나를 헤비메탈 음악의 세계로 끌어들인 개망나니 자식들. 의외로 모범생(?)인 기타리스트만 제외하면 나머지는 마약, 섹스, 폭력 등 그 분야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운 멤버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뮤직비디오는 지금 보면 유치하기 짝이 없으니 들려오는 사운드에만 집중할 것. 더보기
Megadeth vs Metallica 벌써 8년이나 된 Metallica와 Dave Mustaine 의 합동 공연 영상. Metallica의 초창기 멤버였지만 약물 중독과 멤버들과의 잦은 트러블로 밴드에서 해고된 Dave Mustaine. 그는 해고된 이후 절치부심하며 Metallica와 쌍벽을 이루는 숙명의 라이벌 밴드인 Megadeth를 결성하게 된다. 두 밴드 모두 동일한 카테고리의 Thrash Metal 장르의 선구자이긴 하지만 Metallica가 육중하고 웅장한 느낌의 사자 같은 음악을 했다면 반대로 Megadeth는 면도날 같이 날카롭고 시니컬하면서 사나운 표범이나 재규어 같은 느낌의 음악을 선보였다. 실제로 사운드 톤도 저음 리프 위주의 Metallica와 상대적으로 중음의 리프를 자주 쓰는 Megadeth의 톤 메이킹은 극단적.. 더보기